📑 목차

1.알루미늄(논스틱 코팅) 후라이팬
가장 대중적인 프라이팬. 논스틱 코팅으로 음식이 잘 안 달라붙음
장점
- 가볍고 사용 편함
- 열전도 빠름
- 가격 저렴
- 계란·팬케이크 같은 약불 요리에 적합
단점
- 코팅 까지면 수명 끝
- 금속 조리도구 사용 불가
- 고온에서 코팅 손상 가능
추천 대상
- “매일 가볍게 쓰는 팬” 찾는 사람
- 간단 요리 많이 하는 1~2인 가구
2.세라믹 코팅 후라이팬
논스틱이지만 화학 코팅 대신 세라믹 코팅을 사용한 제품
장점
- 유해물질 적은 편
- 열 보존력 좋음
- 디자인 다양함
단점
- 내구성은 다소 떨어짐
- 고온 조리 시 코팅 손상 쉬움
추천 대상
- 디자인·친환경을 중시하는 사람
- 약불·중불 요리가 많은 사람
3. 스테인리스 후라이팬
전문 셰프들이 많이 쓰는 고급 팬
장점
- 기계적 내구성 최고
- 수명 길고 긁힘에 강함
- 고온 조리에 매우 강함 (스테이크 굽기 최강)
- 금속 조리도구 사용 가능
단점
- 식재료가 잘 달라붙을 수 있음
- 무거운 편
추천 대상
- 고기·볶음 등 강불 요리 위주
- 오래 쓰는 팬 찾는 사람
4. 티타늄 코팅 후라이팬
알루미늄 팬에 티타늄 코팅을 입힌 고급 논스틱
장점
- 일반 코팅보다 내구성 우수
- 논스틱 성능 오래 유지
- 인덕션 가능 제품 많음
단점
- 가격대 상승
- 너무 고온에서는 코팅 수명 짧아질 수 있음
추천 대상
- 논스틱 + 내구성 둘 다 중요한 사람
- 인덕션 사용 가구
5.무쇠(주철) 후라이팬
열 보존력·맛·고온 조리 최강. 레스토랑에서 많이 사용
장점
- 스테이크·구이 풍미 최고
- 오랜 시간 뜨거움 유지
- 관리만 잘하면 평생 사용 가능
단점
- 무거움을 감수해야 함
- 기름 보존을 위한 시즈닝 필요
- 세척·관리 난이도 있음
추천 대상
- 스테이크·구이 요리 자주 하는 사람
- 팬 자체에 ‘맛’을 쌓고 싶은 사람
6. 카본스틸(블루스틸) 팬
무쇠와 스테인리스 중간 느낌. 프로 요리사가 많이 사용
장점
- 무쇠보다 가볍고 스테인리스보다 붙음 방지 좋음
- 연마될수록 코팅처럼 미끄러워짐
- 고온 조리 최강
단점
- 녹 방지를 위한 관리 필요
- 초반 길들이기(시즈닝) 필요
추천 대상
- 강불 요리 좋아하는 사람
- 무쇠팬은 무거워서 못 쓰는 사람
7.구리(동) 후라이팬
전문가용 최고급. 열전도력 1위
장점
- 열전도·온도 조절 매우 빠름
- 고급 요리에 최적화
단점
- 매우 비쌈
- 관리 난이도 높음
- 무거움
추천 대상
- 전문 요리 목적
- 온도 조절 민감한 요리(소스, 계란요리 등)
후라이팬 종류 및 비교표
| 후라이팬 종류 | 사용 목적 | 요리 스타일 | 장점 | 주의점 |
| 알루미늄 (논스틱) |
가벼운 팬 원함 / 초보자 / 1~2인 가구 | 계란, 팬케이크, 약불 요리 |
가볍고 사용 편함, 저렴 |
고온 취약, 코팅 수명 짧음 |
| 세라믹 코팅 | 친환경·안전성 선호, 디자인 중시 | 가벼운 조리, 야채볶음 | 유해물질 적음, 예쁨 | 내구성 낮음, 고온 취약 |
| 스테인리스 | 요리 좋아하는 사람, 스테이크/볶음 자주 |
고기 굽기, 볶음, 강불 | 내구성 최고, 긁힘 강함 | 달라붙음 숙련 필요 |
| 티타늄 코팅 | 논스틱 + 내구성 둘 다 필요 | 일상요리 전체 | 코팅 오래감, 편함 | 가격대 높음 |
| 무쇠(주철) | 스테이크·구이 맛 중요 / 풍미 최우선 | 고온 구이, 스테이크 | 열보존력 최고, 풍미↑ | 무거움, 시즈닝 필요 |
| 카본스틸 | 고온 조리 + 무쇠 무거움은 싫음 | 강불 볶음, 구이 | 무쇠급 성능·가벼움 | 초기 길들이기 필요 |
| 구리(동) | 전문요리, 온도 컨트롤 중요 | 계란요리, 소스 | 열전도 1위 | 비쌈, 관리 까다로움 |
📷 사진 펼쳐보기 / 접기








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프라이팬 고르는 법, 한국소비자원 13종 비교 결과로 보는 좋은 팬 선택 기준 (0) | 2025.11.20 |
|---|---|
| 집에서 그릭 요거트 만드는 법|유청 분리기로 꾸덕하게 만드는 집콕 레시피 (0) | 2025.11.17 |
| 집에서 요거트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 ㅣ 요거트 메이커 완전정리 (0) | 2025.11.17 |